본문 바로가기
KBO/녹색 그라운드

겨우 얻는 1점 지킨 키움 3연패 탈출

by 특급용병 2023. 4. 26.
728x90
반응형

나란히 3연패에 빠진 두 팀의 시즌 첫 만남에서 웃은 쪽은 키움이었다. 에이스 안우진의 역투와 겨우(?) 얻은 1점을 끝내 지켜내며 1-0으로 승리하면 키움은 3연패에서 탈출했다. 반면 KT는 결정적인 기회가 있었으나 그것은 기회로 그치면서 4연패 수렁에 빠지게 됐다.

 

Game Review

 

키움은 에이스 안우진, KT는 엄상백을 내세우며 주중 시리즈 첫판이 시작됐다. 먼저 안우진은 이미 KBO리그 최고의 우완 투수답게 거침이 없었다. 안우진은 22사 후 문상철을 볼넷으로 출루시킨 것과 5회 선두타자 역시나 문상철이 3루수 실책으로 출루한 것을 제외하면 6회까지 노히트 경기를 펼쳤다. 6회까지 19명의 타자를 상대하며 볼넷 1, 탈삼진 6개로 완벽한 피칭을 이어갔다.

 

KT 엄상백 역시 훌륭한 피칭을 보여줬다. 31사 후 김휘집에게 첫 안타를 허용했지만 후속 두 타자를 모두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이닝을 마무리했다. 특히 4회말 피칭은 키움에게는 심각한 고민을 하게 했고, 엄상백은 자신의 진가를 나타낸 이닝이기도 했다.

 

선두타자 김혜성을 시작으로 4번 러셀까지 3타자 연속 볼넷으로 무사 만루의 위기를 자초했다. 키움은 절대적인 찬스아닌 말로 외야로 뜬공만 보내도 1점을 낼 수 있는 상황. 최악의 경우 내야 깊숙한 땅볼로 6-4-3 혹은 4-6-3으로 이어지는 병살타가 나와도 득점이 가능했다. 그 밖에도 경우의 수는 많았다. 하지만 모든 경우의 수는 사라졌다.

 

엄상백이 이형종-박주홍을 모두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무사 만루가 순식간에 2사 만루가 됐다. 그리고 7번 타자 김태진을 우익수 플라이로 처리하면서 실점 없이 이닝을 마무리했다. 둘다 비슷한 형국이지만 키움의 방망이는 진짜

 

키움은 5회말 다시 기회가 찾아왔다.

 

선두타자 김휘집이 안타로 포문을 열고 이지영의 번트. 하지만 자신이 아닌 주자가 2루에서 아웃. 분명 번트는 쉽지 않다. 하지만 기습번트가 아닌 희생번트였는데언제부터인가 무조건 빅볼을 외치면서 국내 타자들의 작전 수행 능력이나 기본기가 절대적으로 떨어져 있는 것을 입증하는 장면이기도

 

어쨌든 작전이 실패로 끝났지만 이지영이 도루를 성공하면서 결과는 12루가 됐고, 이용규의 1-2간 타구가 KT 2루수 이상호의 글러브에 맞고 흐르면서 이지영이 득점. 이날 경기의 유일한 득점이나 키움의 선취 득점 + 결승점이 만들어졌다. 참고로 이상호의 글러브에 맞지 않고 우익수 앞으로 타구가 흘러갔다면 이지영이 홈에 못 들어오든가, 홈에서 승부가 충분히 가능했을 것이다. KT 입장에서는 아쉬웠던 대목일 수도

 

계속된 상황에서 21,3루의 기회가 러셀에게 차렸지만 러셀이 투수 앞 땅볼로 물러나면서 키움의 추가점은 없었다. KT 선발 엄상백은 5회를 끝으로 마운드를 내려갔다.

 

KT 타선도 마냥 눌려 있던 것은 아니다. 7회초 알포드의 안타에 이은 박병호의 투수 앞 땅볼. 이때 안우진이 1루가 아닌 3루를 선택했다. 타이밍상 아웃이 될 수 있었지만, 송구도 빗나가고 태그가 늦어지면서 무사 1,3루가 된 것. 그리고 타석에는 장성우. 다시 같은 대사를 반복하면 굴려서 병살타가 되더라도 동점, 띄워서 외야로 보내도 동점이 될 수 있는 절호의 기회. 하지만 장성우는 포수 파울 플라이로 물러났다. 뭐 상대가 안우진이니 그럴 수도

 

문제는 11,3루에서 타석에 들어선 문상철이었다. 유일하게 두 번이나 출루를 했던 문상철. 안우진이 157km의 빠른 볼을 뿌려대는데 뭔가를 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런데 초구 헛스윙 이후 두 번째 공에 번트를 댔다. 결과는 3루 주자 알포드가 홈에서 아웃되고 말았다. 알포드는 번트가 이루어진 후 스타트

 

문상철은 원래 번트를 많이 대 본 선수는 아닐 것이다. 그런 선수에게 다른 투수도 아닌 안우진을 상대로 번트를나중에 얘기하자. 어쨌든 계속된 21,2루에서 안우진은 대타 김준태를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위기를 스스로 마무리하고 경기를 마쳤다.

 

양 팀은 8회말과 9회초 한 번의 기회가 있었지만 살리지 못했고, 결국 키움은 1점으로 연패를 끊을 수 있었다.

 

엄상백의 떨어진 스피드

 

키움 선발 안우진은 7이닝 1피안타 7탈삼진 무실점으로 시즌 두 번째 승리를 따냈다. 반면 KT 엄상백은 5이닝 4피안타 6탈삼진 1실점으로 호투했지만 타선의 불발로 패전 투수가 됐다.

 

결과와 내용은 달랐지만, 두 투수의 역투로 경기는 빠르게 흘러갈 수 있었고, 비교적 깔끔했다. 안우진은 최고 158km까지 기록했다. 다만 언론에서 너무 160km를 부추긴다고 도전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구속이 다는 아니다.”라는 타이틀을 겁나 방출(?)했으면서 갑자기 160km선수는 굳이 따라갈 필요는 없다.

 

그런데 엄상백은 좀 신기하다고 해야 할까? 이상하다고 해야 할까? 이날 최고 147km를 기록했지만, 필자가 알고 있던 엄상백의 구속보다 덜 나오고 있다. 평균 구속을 봐도 아직 초반이지만 예년에 비해 떨어져 있다. 구속이 전부는 아니다. 이날 엄상백은 분명 좋은 피칭을 했다. 그런데 유독 이 선수는 구속이 널뛰기를 하는지 모르겠다.

 

프로 입단 초기, KT의 창단 초기에 엄상백은 150km를 던질 수 있는 투수라고 했는데 어느 순간 구속도 안 나오고 제구력도 별로고 그냥 그런 투수가 됐다. 그러더니 몇 년 지나서 150km 이상의 구속이 나오고 평균 140km 후반의 빠른 볼을 구사했다. 파이어볼러가 없는 KBO리그에서 나름 매력적이고 기대할 만한 투수였다. 그런데 다시 구속이 줄어들었다. 원래 안 나오던 선수라면 논할 이유가 없다. 그러나 빠른 볼을 던지던 선수가 원래 구속보다 떨어지는 것은 당연히 이상할 수밖에갑자기 원래 구속이 나오면 문제가 없겠지만

 

또한, 마냥 이상하게 생각할 수도 없는 것은 2019년에 평균 구속이 떨어져 있다가 다시 최근 몇 시즌 동안은 상승했기 때문이다. 스스로 페이스 조절이나 경기 운영을 하는데 전략이라면 문제없지만그냥 좀 이상하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좀 신기하다고 해야 할까어쨌든 이상하다.

 

문상철과 이지영의 번트 그리고 기본기

 

KT의 가장 아쉬운 장면은 7회초 상황이었다. 그런데 이는 누구의 실수였는지 모르겠지만 명백한 잘못이었다. 스퀴즈 사인이 나왔다면 3루 주자는 빨리 출발을 했어야 했다. 하지만 번트가 이루어진 후에 출발. 게다가 번트가 투수 정면이었다. 그런데 만약 스타트가 빨랐다면 홈에서 세이프가 될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 홈에서 아웃이라는 결과를 나은 것이다.

 

그리고 왜 문상철에게 번트를 지시했을까? 이는 매우 큰 의문이다. 문상철은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했지만, 팀에서 거포로 육성하려 했던 인물이다. 당연히 스몰볼을 경멸(?)하고 있는 현재 리그 풍토에서 그가 번트 연습을 얼마나 했을까? 스타일상 번트를 댈 일도 별로 없었을 것이다. 또한, 이강철 감독은 그가 안우진에게 강하기에 라인업에 넣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굳이 스퀴즈를차라리 번트를 잘 댈 수 있는 선수를 대타로 내는 것이 더 현명했다.

 

결과적으로는 키움은 묻히겠지만 이지영의 번트도 그렇고최근 KBO리그 선수들은 기본기가 너무 부족하다. 야구팬들은 과거 선수들이 현재에 뛰면 그 성적을 내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 현재 선수들이 여러모로 우위를 점할 것으로 평가한다. 그럴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본기는 지금 선수들이 훨씬 떨어진다.

 

현대 야구에서는 작전도 별로 없는 획일화된 야구를 하고 있다. 당연히 번트/도루 무용론도 설파되고 있고, 특히 여론(팬들)과 언론은 무조건적인 빅볼을 지향한다. 그렇다고 지도자들이 그것을 따라갈 필요가 있을까?

 

2000년대 후반 김성근 감독이 SK를 맡던 시절 두산 김경문 감독이 발야구를 하던 시절 전부 SK나 두산 야구를 따라가려고 했다. 그러다가 거포는 씨가 마르게 됐다. 그러더니 언제부터인가 이것도 저것도 아닌 야구를 하고 있다. 탱탱볼 탓인지 모르겠지만 죄다 마구잡이로 돌리고, 벤치도 딱히 전략/전술도 없어보이는 야구를 할 때도 많다.

 

단 한 장면으로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냥 지금 시점에서 말하는 것 뿐이지

 

선수들도 그렇지만 지도자들도 깊게 생각할 문제다. 기본기 무시, 자기 색깔 없이 그냥 흐름과 유행만 따라가는 야구. 어쩌면 이런 풍토가 국제 경쟁력을 더 떨어뜨리는 것일 수도

 

사진 : 키움 히어로즈

댓글